본문 바로가기
유튜브

유튜브 알고리즘이 싫어하는 채널이 되는 이유, 그리고 해결법

by 운랑 2025. 4. 10.
728x90
반응형

유튜브를 몇 달간 꾸준히 운영했는데도 조회수 100을 넘기기 어렵고, 쇼츠 영상도 피드에 노출되지 않는다면?

이 문제는 단순히 운이 없어서가 아닙니다.

알고리즘이 여러분의 채널을 '버려진 채널'로 인식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그리고 이 현상에는 분명한 이유가 있습니다.


1. 채널 세팅이 되어 있지 않다

많은 초보 유튜버들이 간과하는 첫 번째 이유는 ‘채널 세팅 부족’입니다. 유튜브는 검색 기반의 플랫폼이기에, 여러분이 어떤 콘텐츠를 만드는지 정확히 인식할 수 있어야 합니다. 채널 키워드, 소개, 업로드 기본 설정 이 세 가지는 알고리즘이 채널을 분류하는 핵심 기준입니다.

  • 채널 키워드 예시:
    부업, N잡, 직장인 부업, 온라인 수익, 유튜브 수익화
  • 잘못된 키워드 예시:
    성공, 꿈, 도전 등 모호한 표현
반응형

2. 영상 주제가 일관되지 않다

오늘은 브이로그, 내일은 먹방, 모레는 리뷰? 이렇게 주제가 오락가락하면 알고리즘은 여러분의 채널을 특정 카테고리에 넣지 못합니다. 추천 대상이 모호해지고 결국 피드에서 밀려나게 됩니다.

팁:
초반 10개 영상은 한 주제에 집중하고, 재생목록을 적극 활용해 콘텐츠를 카테고리별로 정리하세요.

 

3. 썸네일, 제목, 인트로 연결이 안 된다

유튜브는 클릭률과 시청 지속 시간을 중요하게 평가합니다. 많은 유튜버들이 썸네일과 제목은 그럴듯하게 만들지만, 인트로에서 엉뚱한 이야기를 하거나 너무 늦게 본론에 진입합니다. 5초 안에 핵심을 전달하지 않으면 시청자는 이탈하고 알고리즘도 외면합니다.

예시:
썸네일: “조회수 10배 늘리는 비법!”
인트로: “이 설정 하나로 3일 만에 조회수가 폭발했습니다.”

 

4. 내가 소비하는 영상이 알고리즘을 좌우한다

유튜브는 내가 업로드하는 영상뿐 아니라, 내가 어떤 콘텐츠를 소비하는지도 분석합니다. 만약 부업 채널을 운영하는데, 개인적으로는 예능, 게임만 본다면 유튜브는 여러분을 '엔터테인먼트 시청자'로 분류합니다. 이 경우, 여러분의 콘텐츠는 유사한 시청자에게 노출되지 않게 됩니다.

해결책:
관련 주제 채널 구독 및 시청 + 타겟 채널에 공감형 댓글 달기

728x90

5. 감이 아닌 데이터를 분석해야 한다

성공하는 유튜버들은 ‘잘 될 것 같은 영상’이 아니라, '데이터가 말해주는 영상'을 만듭니다. 클릭률이 낮으면 썸네일 수정, 시청 지속 시간이 낮으면 오프닝 수정. 이런 반복적인 데이터 기반 개선이 필수입니다.

유튜브 스튜디오 데이터 항목 확인:
클릭률, 평균 시청 지속 시간, 이탈률 구간 등


결론: 지금 당장 채널을 알고리즘 친화적으로 세팅하라

유튜브 알고리즘은 절대 감정적으로 작동하지 않습니다.

단지 여러분의 채널이 어떤 분야의 어떤 콘텐츠를 만드는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가,

그리고 시청자들이 얼마나 오래 보는가만을 기준으로 평가합니다.

이 다섯 가지를 실천하지 않으면, 유튜브는 여러분을 '비추천 대상'으로 간주합니다.

반대로 지금 당장이라도 채널을 다시 세팅하고 콘텐츠 방향성을 잡는다면, 유튜브는 여러분의 채널을 추천하기 시작할 것입니다요!

 


* 참고 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gadedKEuLaQ

728x90

댓글